
한라산국립공원
1970년 3월 24일에 한라산을 중심으로 제주도 일부지역이 한라산 국립공원으로 지정되었다.
한라산은 남한에서 가장 높은 산으로 해발 1950m이며, 화산활동으로 지금의 한라산이 생성되었다.
한라산 정상에는 지름 500m 정도의 분화구가 있는데 분화구 안에 수심 1m정도의 백록담이 있다.
그리고 한라산과 제주도 전역에 펼쳐져서 오름이라고 불리우는 기생화산들이 300개 넘게 분포하고 있다.
한라산을 횡단하는 2개의 도로, 516도로(1131번 도로)와 1100도로가 있다. 제주시와 서귀포시를 이어주는 이 횡단도로를 따라 오르다 보면 산의 높이에 따라 다양한 수림(난대성 상록활엽수림, 온대 낙엽수립, 냉대림 숲)이 펼쳐지고 중간중간에 멀리 펼쳐진 바다를 볼 수 있어 드라이브 코스로도 제격이다.
516도로(1131번 도로)는 제주시 시내와 서귀포시 시내를 이어주는 도로이며 한참 올라가다가 도로의 최고점(750m)에 이르면 성판악휴게소가 있는데 여기서 한라산정상까지 약 12km의 등산로가 있고 등산로 중간에 성널오름, 사라오름이 있다.
1100도로는 우리나라 포장도로중 가장 높은 위치(1100m)에 있으며 제주시와 서귀포시의 중문을 이어준다. 제주 유일의 어승생 수원지가 있고 등산코스인 어리목과 영실로 갈 수 있다.
어리목 코스는 특히 5월에 철쭉이 어리목 코스 전역에 만발하여 한라산을 붉에 물들이는 장관을 연출한다.
영실코스는 한라산 정상까지의 거리가 가장 가깝고 오백나한이라고 불리우는 기암괴석이 많아 등산코스로 인기가 높다.
한라산은 제주도의 중앙에 우뚝 솟아 있어서 제주도 어느곳에서든지 한라산을 바라볼 수 있는데, 겉으로 보기에는 산이 부드러워 보이나 막상 산에 들어서면 보이는 것과는 달리 꽤 험하다는 것을 느낄 수 있다.
|

한라산 등반코스
한라산은 제주도 중앙에 우뚝 솟아 있어서 제주도 어느 곳에서든지 한라산을 바라볼 수 있는데, 겉으로 보기에는 한라산이 언저리가 부드러워 보이나 막상 산에 오르다 보면 멀리서 보았던 것과는 달리 꽤 험하고 힘들다는 것을 느낄 수 있다.
현재 한라산은 1996년부터 자연휴식년제에 들어가서 어리목코스와 영실코스는 해발 1,700미터인 윗세오름 대피소까지 등반이 가능하다.
한라산 북쪽코스로 계곡이 깊고 산세가 웅장하여 한라산의 진면목을 볼 수 있는데, 중간에 용암동굴인 구린굴과 탐라계곡이 있다.
탐라계곡은 가을철 단풍이 절경을 이루며 겨울철에는 설경이 아름답다.
식수를 구하기 힘들고 먹을 것을 구할 수 없으므로 미리 충분히 준비해야한다.
|
3.5km |
|
1.7km |
|
1.9km |
|
1.8km |
|
관음사 야영장 |
-------→ |
탐라계곡 |
-------→ |
개미록 |
-------→ |
용진각 대피소 |
-------→ |
백록담 |
(해발 620m) |
1시간 |
|
1시간 30분 |
|
1시간 |
(해발 1,500m) |
1시간 30분 |
|
⊙ 관음사 ~ 용진각 : 6.8km, 3시간 30분 소요
⊙ 관음사 ~ 백록담 : 8.7km, 5시간 소요 (겨울철 등반가능)
⊙ 매 점 : 없음.
⊙ 대피소 : 탐라계곡대피소(무인), 용진각대피소(무인)
⊙ 교 통 : 제주시외버스터미널에서 서귀포 방면(516도로(1131번 도로)) 시외버스로 산천단 검문소를 지나(20분정도 소요) 조금더 가서 관음사로 가는 갈림길에서 내려 관음사 쪽으로 30분정도 걸으면 관음사야영장이 나타난다.
|
한라산 동쪽 코스로 등산로가 길고 완만하여 초보자들이 산행하기에 좋다.
등산로에는 활엽수림이 우거져서 삼림욕을 하며 걷기에 좋으나 바닥에 돌이 많아서 등산화나 운동화를 싣어야 한다.
사라악 약수터(5.6km)가 있으나 식수를 준비하는 것이 좋다.
봄이면 진달래밭 대피소 부근에 진달래가 울긋불긋 만발하게 피어나 멋진 풍경을 연출한다.
|
3.5km |
|
2.1km |
|
1.5km |
|
2.3km |
|
성판악 휴게소 |
-------→ |
속 밭 |
-------→ |
사라악 |
-------→ |
진달래밭 대피소 |
-------→ |
백록담 |
(해발 850m) |
1시간 20분 |
|
40분 |
|
1시간 |
(해발 1,500m) |
1시간 30분 |
|
⊙ 성판악 ~ 진달래밭: 7.3km, 3시간 소요
⊙ 성판악 ~ 백록담 : 9.6km, 4시간 30분 소요 (겨울철 등반가능)
⊙ 매 점 : 성판악휴게소, 진달래밭대피소
⊙ 대피소 : 사라악대피소(무인), 진달래밭대피소(유인)
⊙ 교 통 : 제주시외버스터미널에서 서귀포 방면(516도로(1131번 도로)) 시외버스를 타고 1시간쯤 가면 성판악휴게소가 나타난다. |
한라산 서북쪽 코스로 등산로가 짧고 완만하여 초보자들도 쉽게 오를 수 있는 코스이다.
봄이면 철쭉이 한가득 피어서 광활한 초원을 붉게 물들이고, 만세동산을 오르는 돌길에서 뒤를 돌아보면 오름들과 수평선이 파노라마처럼 이어진다.
사제비 약수터와 오름 약수터에서 식수를 구할 수 있고, 만세동산을 지나면 평지가 시작되고 잠시후면 백록담 화구벽이 눈앞에 보이는 윗세오름 대피소가 있다.
자연휴식년제를 실시하고 있어서 윗세오름 대피소까지만 등반을 할 수 있고 여기서 영실코스로 내려갈 수도 있다.
|
2.4km |
|
0.8km |
|
1.5km |
|
어리목 광장 |
-------→ |
사제비 동산 |
-------→ |
만세동산 |
-------→ |
윗세오름 대피소 |
(해발 970m) |
1시간 |
|
30분 |
|
30분 |
(해발 1,700m) |
⊙ 어리목 ~ 윗세오름 : 4.7km, 2시간 소요
⊙ 매 점 : 어리목 광장, 윗세오름 대피소
⊙ 대피소 : 윗세오름 대피소(유인)
⊙ 교 통 : 제주시외버스터미널에서 중문방면(1100도로) 시외버스를 타고 1시간쯤 가서 어리목 입구에서 내려 10분쯤 걸으면 어리목 광장이 나온다.
|
한라산 서남쪽 코스로 등산코스중에 가장 짧다. 영주십경중의 일경인 영실기암은 오백나한상이라고 불리우며 멋진 기암절벽을 자랑한다.
봄이면 선작지왓에 진달래와 산철쭉이 등산로를 붉게 물들이고 10월이 되면 단풍이 절경이다.
노루샘에서 식수를 구할 수 있고 노루샘에서 조금만 걸으면 윗세오름 대피소가 나온다. 어리목코스와 마찬가지로 윗세오름 대피소까지만 등반이 허용되며 어리목코스로 내려갈 수 있다.
|
1.5km |
|
2.2km |
|
영실 휴게소 |
-------→ |
병풍 바위 |
-------→ |
윗세오름 대피소 |
(해발 1,280m) |
1시간 |
|
30분 |
(해발 1,700m) |
⊙ 영실 ~ 윗세오름 : 3.7km, 1시간 30분 소요
⊙ 매 점 : 영실 휴게소, 윗세오름 대피소
⊙ 대피소 : 윗세오름 대피소(유인)
⊙ 교 통 : 제주시외버스터미널에서 중문방면(1100도로) 시외버스를 타고 1시간 20쯤 가서 영실 매표소에서 내린 후 영실 휴게소까지 2.4km를 걸어서 40분정도 올라가면 된다. |

한라산 등반시 주의사항
한라산 국립공원은 관음사 야영지를 제외하고는 국립공원내에서 야영과 취사가 금지되어 있다.
그래서 미리 식수와 간단히 먹을 수 있는 것을 준비하고 올라가는 것이 좋다.
|
등산코스의 자연훼손이 심하여 어리목코스와 영실코스는 자연휴식년제를 실시하고 있어서 정상 등반을 할 수 없으며 윗세오름까지만 등반 할 수 있다.
성판악코스와 관음사코스는 정상 등반이 가능하다.
|
한라산은 특히 날씨의 변화가 심하여 맑게 개었다가도 짙은 안개가 끼기도 하고 비나 눈이 내리기도 한다. 따라서 지정된 등산로로 산행하는 것이 혹시 모를 불상사를 막을 수 있을 것이다. 등산로를 이탈했다가 길을 잃어버리면 인가까지의 거리가 너무 멀고 식수를 구하기 힘들어 탈진할 우려가 있다.
해발 고도에 따라서 기온차이가 10℃ 정도의 차이를 보이므로 봄, 가을철에는 웃옷을 여벌로 준비하는 것이좋다.
|
한라산 등반은 하루코스로 정해져 있어 입산시간과 하산시간이 각 코스별, 계절별로 정해져 있다.
시간을 맞춰 늦지 않게 각 등산로 입구에 도착해야 다시 되돌아오는 불상사를 면할 수 있다.
구분 |
등반 코스 |
동절기
(1, 2, 11, 12월) |
춘추절기
(3, 4, 9, 10월) |
하절기
(5, 6, 7, 8월) |
입산 |
어리목 / 영실 코스 |
06:00 ~ 12:00 |
05:30 ~ 13:00 |
05:00 ~ 14:00 |
성판악 / 관음사 코스 |
06:00 ~ 10:00 |
05:30 ~ 11:00 |
05:00 ~ 12:00 |
하산 |
어리목/영실 코스
(윗세오름 대피소) |
14:00 |
15:00 |
16:00 |
관음사코스(용진각대피소) |
13:30 |
14:30 |
15:30 |
성판악코스(진달래밭 대피소) |
13:30 |
14:30 |
15:30 |
|
|
한라산 국립공원 |
한라산 등반코스 |
등반시 주의사항 |